|
'더 높이, 더 멀리, 더 빨리.' 올림픽 구호가 아니다. 하늘과 가까워지려는 인간 욕망의 다른 말이다.
초고층 스카이라인의 상징이었던 미국에서는 경기 침체와 업무 공간 활용 방식 변화로 '마천루' 건설 붐이 싸늘하게 식어가고 있지만, 아시아와 중동에서는 그 열기가 급팽창하고 있다.
건축역사학자 주디스 두프리는 자신의 저서에서 "대부분의 마천루는 미국에서 지어졌지만, 최근 '초고층(Supertall)' 빌딩은 아시아에 있다"며 "팽창하는 인구에 따른 수요의 성장이 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문자 그대로, 올라가는 것 외에 갈 곳이 없다"고 진단했다.
▶아시아ㆍ중동 쏠림 가속=영국의 BBC방송은 "세계 100대 초고층 빌딩의 3분의 2는 아시아와 중동에 위치한다"며 '서에서 동으로의 극적인 전환'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이미 완공됐거나 건설 중인 세계 10대 초고층 빌딩 중 아시아와 중동이 아닌 곳은 한 곳도 없다. 현존하는 최고층 빌딩인 부르즈칼리파(828m)는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에 있다. 2019년 완공 예정인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의 킹덤타워는 1000m 이상을 예고하고 있어 부르즈칼리파를 제치고 1위 권좌에 새롭게 등극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은 지난 10년간 초고층 빌딩 건설 붐을 맞았다. 현재 중국 대륙의 33개 도시에 200m가 넘는 빌딩만 200개가 넘는다. 내년 완공을 눈앞에 둔 중국의 상하이타워는 632m로, 아시아 최고층 빌딩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현재 건설 중인 전 세계 10대 마천루 중 9개를 아라비아 반도, 중국, 한국 등 아시아가 차지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빌딩정보 업체인 엠포리스(Emporis)가 20일(현지시간) 발표한 조사결과를 보면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전 세계 상위 10위 마천루 중 가장 높은 빌딩은 사우디 아리비아가 홍해의 항구도시 제다에 건설 중인 킹덤 타워(1천m, 167층)이며, 초고층 빌딩 수로는 중국이 7개로 가장 많았다.
올해 3월 착공해 오는 2018년 완공 예정인 사우디 아라비아의 킹덤 타워는 건축 사상 최초로 1천m 높이를 기록하게 된다. 현재 건설된 건물 중 최고 높은 건물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시공한 `부르즈 할리파'로 높이 828m, 162층이다.
중국의 고층 빌딩 중에서는 선전의 평안국제금융센터(660m•116층•2015년 완공 예정)가 2위를 차지했고 우한의 그린랜드 센터(636m•118층•2017년•3위), 상하이(上海)의 국제금융센터(632m•121층•2014년•4위), 톈진(天津)의 차이나117 타워(597m•117층•2015년•5위) 등이 세계 10대 마천루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은 오는 2014년에 완공될 예정인 서울의 롯데월드 타워(556m, 123층)가 전 세계 6위를 차지했고, 미국이 뉴욕에 재건 중인 세계무역센터(541m, 104층, 2014년)가 7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엠포리스는 오는 2018년이 되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킹덤 타워(1천m)이며 그 뒤를 이어 부르즈 할리파(828m), 중국 평안국제금융센터(660m), 중국 우한 그린랜드 센터(636m), 상하이 타워(632m), 메카 로열 클락 타워(601m) 순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고 트리뷴 드 쥬네브는 전했다.
|
本帖子中包含更多资源
您需要 登录 才可以下载或查看,没有账号?注册
x
评分
-
1
查看全部评分
-
|